※ 아라비카 (Coffee Arabica)
1. 타가수분으로 품종이 많으며, 개량된 커피가 나온다.
2. 카페인함량은 0.7~1.4%이다.
3. 신맛이 강하며 향미가 풍부하다.
4. 병충해에 약하다.
5. 1000~1500m이상의 고지대에서 자란다.
6. 커피 콩이 길쭉한 타원형으로 녹색이다.
7. 전세계 커피 생산량의 70%이상을 차지한다.
8. 주로 남미에서 재배한다.
※ 로부스타 (Coffee Canephora)
1. 자가수분으로 단일 품종만 수확이 된다.
2. 카페인 함량은 1.8~4.0%로 아라비카보다 더 많이 함유하고 있다.
3. 쓴맛이 강하고 향미가 약하다. (쓴맛은 카페인이 영향을 주는데, 아라비카보다 함유량이 많기 때문에 쓴맛이 강하다.)
4. 병충해에 강하다.
5. 800m 이하에서도 잘 자란다.
6. 커피 콩이 동그랗고 노란색이다.
7. 전세계 커피 생산량의 약 30%정도의 비율을 차지한다.
8. 주로 베트남, 인도네시아, 인도 등에서 재배한다.
※ 리베리카
1. 전세계 커피 생산량의 1%미만을 차지한다.
※ 카페인 함유량
에스프레소를 '1'로 보았을 때...
드립커피 : 3~5
인스턴트커피 : 15
※ 커피의 쓴 맛은 카페인이 원인이 되므로, 카페인 함유량이 많은 커피는 쓴맛이 강하다.
※ 커피의 등급
SCAA(미국 스페셜리티 커피 협회) : 생두 350g에 결정두가 5개 이하일 경우, 스페셜리티 커피로 지정한다.
SCAE(유럽스페셜리티 커피 협회)
※ 각 나라별 커피 등급
1. 브라질
① 항구명-등급의 순서로 표기
② 생두의 크기가 클수록 등급이 높다.
③ 등급은 No2. No.3 등으로 표기하며 숫자가 낮을수록 상급
Ex. 산토스(항구명) No2(등급) : 산토스항구를 통해 나오는 것
2. 콜럼비아
① 수프리모, 엑셀모 등의 언어로 등급 표기하며 수프리모가 최상급
② 생두의 크기가 클수록 등급이 높다.
3. 케냐
① AA, AB 등의 알파벳으로 등급 표기
② 케냐 역시, 생두의 크기가 클수록 등급이 높다.
③ AA가 상급으로 B C로 갈수록 가치는 떨어진다.
4. 과테말라
① 항구명-등급의 순서로 표기
② 고도로 등급을 나눈다. (높은 고도에서는 단단한 커피가 나와 좋은 커피가 된다.)
③ SHB가 가장 상급이며 HB 등의 알파벳으로 등급을 표기한다.
5. 이디오피아
① 항구명-등급의 순서로 표기
② 결정두 수로 등급을 나눈다.
③ Grade1, Grade2 등으로 표기하며 숫자가 낮을수록 상급이다.
※ 3대 커피 품종
1. 자메이카 블루마운틴 : 브라질 No2를 기준으로 10배정도
2. 하와이 코나 : 브라질No.2를 기준으로 9~10배
3. 예멘 (모카) 마타리 (*여기서의 모카는 항구명) : 브라질 No.2를 기준으로 4~5배
'레의공간 > 커피노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커피를 추출하는 방법과 기구 (0) | 2014.01.27 |
---|---|
로스팅(Roasting) (0) | 2014.01.14 |
커피의 개요 (3) | 2013.10.07 |